Study Record/To Be PM
-
슈퍼앱이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11. 20. 19:11
슈퍼앱이란? 2010년에 등장한 용어로 ‘블랙베리(지금은 차랑용 SW 기업으로 전환했다고)’의 창업자인 마이크 라자리디스(Mike Lazaridis)가 처음 만들었고, 그는 슈퍼앱을 원활하고 통합적이며 맥락에 맞는 효율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앱의 폐쇄형 생태계라고 정의함 가트너(Gartner)는 슈퍼앱을 최종 사용자(고객, 파트너 또는 직원)에게 일련의 핵심 기능과 독립적으로 생성된 미니앱에 대한 접근을 함께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앱 → 여러 개의 앱을 설치하거나 추가 회원 가입 등의 불편함 없이 다양한 통합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음 슈퍼앱을 왜 만들까? 하나의 앱에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로 떠나지 않음 → 사용자..
-
플랫폼의 수익모델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11. 12. 15:47
플랫폼 수익 모델 1. 구독형 수익모델 제품/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한번 또는 지속적으로 미리 지급하는 고객을 미리 확보하는 수익모델 방식 신문이나 고객의 리뷰, 논평, 리포트 등을 판매해 수익을 내는 구독형 수익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공 자료가 다른 자료와 구분되고 복제가 어려우며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없는 높은 부가가치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링크드인(채용에 특화된 버티컬 플랫폼)은 기본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하고, 고급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구독료 형태의 수익모델을 선택하고 있다. 링크드인의 수익모델 중 프리미엄 구독료 매출의 비중은 약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광고와 솔루션 부문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2. 거래 수수료형 수익 모델 거래를 할 때마다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얻..
-
수익 모델이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11. 2. 14:55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3대 요소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당연하게도 하나의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 돈이 필요하고, 그 프로덕트를 통해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필수적이다. 내가 해당 주제에 대한 공부를 하고 글을 쓰게 된 계기 또한 첫 프로젝트였던 '중고물건 위탁판매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수익 창출은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기획에 있어 비즈니스 모델 등 수익과 관련된 부분이 핵심적인 만큼 어렵다고 느껴지는 것 같지만, 계속해서 관련 내용을 리서치하고 나의 것으로 체득하면서 이해도를 높여보도록 하겠다. 수익 모델이란? 수익 모델은 비즈니스, 일반적으로 온라인 비즈니스가 서비스를 화폐화하는 방식 또한, 수익 모델은 기업이 어떻..
-
#역기획 스터디 - 당근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10. 21. 14:36
역기획이란? 이미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서비스를 보면서 역으로 어떻게 기획되었는지 정리하는 방식 역기획은 혼자 서비스 기획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나는 패스트캠퍼스의 '김정식 강사님'과 '도그냥님'의 역기획 방법에 따라 역기획을 진행하였다. 기존에 다른 역기획 문서들과 같이 UI를 해부하고, 인터렉션을 분석하는 방법은 아니다. 프로덕트가 가진 목표와 전략 등의 비즈니스적 요소와 서비스 그 자체에 대한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한 개선점을 스스로 찾아가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관찰은 현상일 뿐, 기획은 사고의 과정이다. 사고의 과정을 따라 해야 역기획이라 할 수 있다. - by. 도그냥 - 혼자 서비스 기획을 공부하는 방법 도그냥의 역기획 스터디법 | 기획을 배우려면 기획을 해봐야 한다 지금 강의..
-
PMF(Product Market Fit)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9. 23. 21:22
PMF(Product Market Fit)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제품 시장 적합성으로, 제품이 강력한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는 정도를 말한다고 한다. 이 용어는 스타트업 또는 넷스케이프 창업자이자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VC인 마크 안데르센이 처음 사용하면서 알려지게 되었고 사전적 정의 외에도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한다. 좋은 시장에 그 시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갖고 있는 것 Product/market fit means being in a good market with a product that can satisfy the market. (Marc Andreessen) 설득력 있는 가치 가설을 식별하는 것 Product/market fit is identifying a compelling..
-
IT 실무 용어 모음집①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9. 16. 16:52
입사 후 실무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용어들이 있다. 처음에는 이게 무슨 말이지 분명 한국어는 맞는데,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한 경험을 해본 적이 한 번씩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연차가 쌓이면 눈치껏 이해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모든 것을 아는 건 아니다. 나 같은 경우도 아직 모르는게 수두룩 빽빽하다. 여기서 '수두룩 빽빽'도 한글은 맞는데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 거라 생각한다. 이는 경상도 사투리로 매우 많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판교 사투리는 들어본 적이 있는지 모르겠다. 업계에서는 정보기술(IT)이나 디자인 업계 종사자들끼리 즐겨 쓰던 말이 스타트업의 독특한 조직문화와 결합돼 새로운 언어로 자리 잡은 것이라고 하는데... 쿠플의 유니콘을 보면서도 느꼈지만 국영혼용체가 대부분으로 이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