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퍼앱이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11. 20. 19:11
슈퍼앱이란?
- 2010년에 등장한 용어로 ‘블랙베리(지금은 차랑용 SW 기업으로 전환했다고)’의 창업자인 마이크 라자리디스(Mike Lazaridis)가 처음 만들었고, 그는 슈퍼앱을 원활하고 통합적이며 맥락에 맞는 효율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앱의 폐쇄형 생태계라고 정의함
- 가트너(Gartner)는 슈퍼앱을 최종 사용자(고객, 파트너 또는 직원)에게 일련의 핵심 기능과 독립적으로 생성된 미니앱에 대한 접근을 함께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앱 → 여러 개의 앱을 설치하거나 추가 회원 가입 등의 불편함 없이 다양한 통합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음
슈퍼앱을 왜 만들까?
- 하나의 앱에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로 떠나지 않음 → 사용자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락인 효과
- 고객의 체류시간 증대 → 인앱 광고, 커머스 접목을 통한 추가 수익 확대 가능
- 사용자의 데이터 바탕 신규 서비스 생성 → 매체(플랫폼)의 파워를 키울 수 있음
출처 : Emerline.com 가트너는(Gatner) 2027년 쯤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슈퍼앱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
→ 상위 순위 15개의 슈퍼앱이 전 세계적으로 도합 46억회 이상 다운, MAU는 26억 8천만명슈퍼앱 전략의 핵심은?
1. 유기적인 생태계를 구축해야함
- 앱 이탈 없이도 한 플랫폼에서 모든 서비스를 해결하며 끊김이 없는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그저 흩어져 있는 서비스를 한 곳에 모으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님
- 각각의 서비스를 단일 앱에서 사용할 때 부가가치와 시너지가 있어야 함
2. 효율적인 자원 활용으로 리스크 분산 • 전문성 확보해야함
- 수익성을 위한 신규 수입원 확장 전략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음.
- 사업 영역을 무리하게 확장하게 되면 리스크와 전문성 상실로 인해 기존 소비층마저 쉽게 이탈하기 쉽기에 무분별한 자원 분산으로 브랜드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잃지 않도록 유의해야함
3.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기능을 확장해야함
- 킬러 서비스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사업을 확장하게 될 경우, 유저 경로가 자연스러운지 세밀히 검토해야함
→ 단일 앱 내에서 유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다양한 가치를 제시하면서 제공하는 것이 핵심 - 관건은 플랫폼이 기존 유저의 니즈를 포착하고 새로운 서비스로 유도하는 것
→ 플랫폼은 단순히 외연 확장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유저들이, 그리고 잠재 유저들이 어떤 니즈를 갖고 있는지 검토해야 함
'Study Record > To Be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폼의 수익모델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11.12 수익 모델이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11.02 #역기획 스터디 - 당근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10.21 PMF(Product Market Fit)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09.23 IT 실무 용어 모음집①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