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랫폼의 수익모델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Study Record/To Be PM 2023. 11. 12. 15:47
플랫폼 수익 모델
1. 구독형 수익모델
- 제품/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한번 또는 지속적으로 미리 지급하는 고객을 미리 확보하는 수익모델 방식
- 신문이나 고객의 리뷰, 논평, 리포트 등을 판매해 수익을 내는 구독형 수익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공 자료가 다른 자료와 구분되고 복제가 어려우며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없는 높은 부가가치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링크드인(채용에 특화된 버티컬 플랫폼)은 기본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하고, 고급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구독료 형태의 수익모델을 선택하고 있다. 링크드인의 수익모델 중 프리미엄 구독료 매출의 비중은 약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광고와 솔루션 부문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2. 거래 수수료형 수익 모델
- 거래를 할 때마다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얻는 수익모델
- 애플은 앱스토어 입점을 신청한 앱을 검토한 후 입점을 승인하고 되는데 유료 판매시 수수료로 30%를 가져간다.
- 호텔엔조이닷컴은 수수료 형태로 판매액의 7~20%를 가져가고 있다.
- 전 세계 최대 숙박공유업체인 에어비앤비는 숙박을 예약한 게스트와 숙소를 빌려주는 호스트로부터 중개수수료를 받는다.
3. 판매형 수익 모델
- 가장 기본적인 수익모델로 고객에게 서비스, 상품, 정보를 팔아서 수익을 내는 모델
- 아이템 판매 방식 : 플랫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판매해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로 게임 아이템, 캐릭터 판매, 기프티콘 판매 등이 있다.
4. 제휴형 수익 모델
- 제휴 웹 사이트가 방문자를 다른 웹사이트로 보내주거나, 잠재고객들에게 필요한 웹사이트를 소개해주고 소개료 또는 손님이 구입한 금액의 일부를 받는 수익모델
- 개인 블로거, 몇몇 블로거들은 판매 채널로 링크시키거나, 제품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글을 올려 제조자로부터 돈을 바로 받거나, 무료로 제품을 제공받는 형태이다.
5. 광고형 수익 모델
- 전자 상거래의 가장 큰 수익 모델
- 광고를 노출하기 위해 드는 상품, 유통 비용은 광고주가 지불하기 때문에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 웹사이트의 배너가 가장 대표적이며, 다른 온라인 미디어로 제공될 수도 있다
- 구글은 검색어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여 수익을 얻고 있으며, 2015년 매출액 745억 달러의 90%가 광고 수익으로 나타났다.
위 영상에서는 플랫폼의 수익 창출 방안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으며, 사례별 예시는 영상을 확인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 거래 수수료 부과
- 핵심 상호작용에 대한 접근성 강화에 대한 대가성 요금 부과
- 제 3자 집단 커뮤니티 시장에 대한 접근의 대가성 요금 부과
- 큐레이션 강화에 대한 대가성 서비스 사용료 부과
*플랫폼의 비즈니스모델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참고
플랫폼 기업은 어떻게 돈을 버는가? — Steemit
페이스북, 구글, 애플, 알리바바, 에어비앤비, 우버 등 요즘 잘나가는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면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이들 기업 모두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고 있다
steemit.com
'Study Record > To Be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앱이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11.20 수익 모델이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11.02 #역기획 스터디 - 당근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10.21 PMF(Product Market Fit)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09.23 IT 실무 용어 모음집①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0) 2023.09.16